
데이터 사이언스의 창으로 혁신 담론 성찰하기: 키워드의 '신기루'를 넘어서
데이터 사이언스의 창으로 혁신 담론 성찰하기: 키워드의 '신기루'를 넘어서 7월 14, 2019 | BY 김도훈 기술이 격변하고 있다는 말은 우리 시대에 진부해졌다. 그런 표현은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세상의 변동을 담아내기에는 뭔가 중요한 핵심을 놓치고 있다. [...]
ARS PRAXIA와 관련된
다양한 컨텐츠들을 소개합니다
데이터 사이언스의 창으로 혁신 담론 성찰하기: 키워드의 '신기루'를 넘어서 7월 14, 2019 | BY 김도훈 기술이 격변하고 있다는 말은 우리 시대에 진부해졌다. 그런 표현은 우리가 목도하고 있는 세상의 변동을 담아내기에는 뭔가 중요한 핵심을 놓치고 있다. [...]
데이터로 보는 변화의 방향과 사회혁신의 조건 5월 20, 2019 | BY 김도훈 데이터 사회의 도래와 자아 중심성의 쇠퇴 2013년, 구글이 새로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글 글래스(Google Glass)를 출시했을 때, 글로벌 시장은 기대와 환희로 들끓었다. 수년 전 스 [...]
텍스트 마이닝의 방법론과 실제: 경험적 관점 11월 29, 2017 | IN POLICY | BY 김도훈 1. 서론 비정형 데이터 분석이 각광을 받고 있다. 그도 그럴 것이, 빅데이터가 넘쳐나는 요즘 세상에서 세상에 존재하는 데이터의 80% 이상이 비정형 데이터로 추산된다(Ch [...]
비정형 데이터 어떻게 분석하나 7월 2, 2017 | BY 김도훈 일반인들에게도 이제 귀에 익숙해진 빅데이터는 통상 숫자로 표현되는 정형 데이터(structured data)와 오디오, 텍스트 문서, 이미지, 비디오 등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(unstructured data)로 대별된다 [...]